우리 아이의 모습이 다른 아이와는 어딘가 조금은 달라 보인다면?
혹시 자폐 스펙트럼은 아닌지, 단순 발달지연인지, 또는 ADHD인 건지.. 걱정이 많으시죠? 자폐 스펙트럼은 아이마다 그 정도와 형태가 모두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양육자가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은 당연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. 부모님들의 판단을 도와드리고자, 자폐 스펙트럼의 주요 특징과 아이 연령별로 나타나는 자폐 스펙트럼의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상세하게 소개하는 해외 블로그 글을 가져왔습니다.
(출처: Beaming Health - 원문)
게시글 요약
- 자폐 스펙트럼의 징후는 일반적으로 아이의 첫돌, 두 돌 내에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.
- 사회화 문제와 상동 행동(똑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행위)는 일정 연령 이상의 아이에게서 주로 발견됩니다.
- 많은 경우, “의사소통”에 어려움을 겪습니다.
- 여자아이의 경우, 자폐 증상을 잘 숨기기도 하며, 사회적 규범에 적응하기 위해 스스로 많은 에너지를 쓰기도 합니다. (Masking, Social Camouflaging)
아동 연령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의 주요 징후들을 소개 드립니다.
다음에서 소개 드리는 징후들 중에서도, 어떤 아이는 1~2가지의 모습만 보이기도 하고, 어떤 아이는 모든 증상을 다 가지고 있기도 하니, 절대적 기준이라기보다는 대체적인 양상이 어떤 지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.
영유아(0~3세)의 조기 징후
자폐 스펙트럼을 식별할 때 많은 경우 만 4~5세 시기를 우선적으로 살펴보지만, 일반적인 징후는 만 0~3세 중에도 나타나기 시작합니다.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아기는 생후 1년 동안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.
출생 후 1년
- 물리적인 접촉에 민감하고 껴안거나 껴안는 것을 싫어함
- 활짝 웃거나 즐거운 표정을 보이는 경우가 드묾
-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옹알이, 유아어 등 소리를 내지 않음
- 손가락으로 대상을 가리키는 ‘포인팅’ 행동을 하지 않음
-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함
- 이름을 불러도 별다른 반응이 없음 (호명 반응)
- 기어 다니는 것을 싫어하거나 잘 하지 못함
- 다른 사람이 말을 해도 잘 듣지 않는 듯함
유아기 (만 2~3세)
- 제한된 단어, 몸짓 및 소리만을 사용하거나 전혀 말을 하지 않음
- 특정 과목이나 활동에만 큰 관심을 보임
- 손을 펄럭이거나 회전하는 것과 같은 반복적인 움직임이 잦음 (상동 행동)
- 끙끙대거나 헛기침과 같은 특정 소음을 반복함
- 다른 아이들과 노는 것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거나 혼자 노는 것을 선호함
- 친구를 사귀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
- 냉담하거나 무관심해 보임
- 잘 걷지 않거나, 뒤꿈치를 들고 보행함
- 본인만의 독특한 행동 패턴에 집착함
- 분류, 쌓기와 같은 기능적 놀이에만 관심을 가짐
- 동물 인형을 껴안는다든지, 장난감을 가지고 하는 역할놀이에 관심이 없음
- 스스로 머리를 때린다거나 물어뜯는 것과 같은 자해 행동을 보임
- 간단한 지시임에도 잘 따르지 않거나 힘들어함
- 다른 사람이 화를 내도 알아차리거나 신경 쓰지 않음
취학기 아동 및 10대 (만 4~ 18세 )의 징후
이 시기의 아이들은 사회적 의사소통, 반복적인 행동, 특별한 관심사에 어려움을 겪습니다. 일부 경우는 독특한 수면 및 식사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수면 및 소화 문제를 경험하곤 합니다.
사회화 문제
-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을 갖지 않고, 잘 알아차리지 못함
- 다른 사람과 소통하거나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식함
- '감정'을 이해하거나 이야기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
- '역할놀이'를 하지 않음
- 관심사나 성취를 동료 및 부모와 공유하지 않음
-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거나 또래들과 계속 노는 데 어려움을 겪음
- 모든 부분에서 겁이 너무 없거나, 반대로 겁이 너무 많음
언어적 의사소통 문제
- 일반적이지 않은 어조나 리듬, 톤으로 말하고, 모든 문장을 질문 형식으로 마무리하는 경향이 있음
- 다른 아이들보다 훨씬 늦게 언어 발화가 진행됨
- 특정 단어나 표현을 반복함
- TV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대사를 암기하고 반복함
- 본인의 욕구와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것이 어려움
- 간단한 지시에도 어려움을 느낌
- 대답하는 대신 질문을 되풀이함(반향여)
비언어적 의사소통 문제
- 육체적 활동(균형잡기 등)에 문제가 있는 것이 보임
- 지속적으로 눈 맞춤을 하지 않음
- 다른 사람의 행동에 무심하고 반응하지 않음
- 표정을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말하는 것과 일치하지 않는 표정을 짓는 경우가 많음
- 다른 사람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함
- 시끄러운 소음에도 아예 반응하지 않거나, 또는 일부 소음, 냄새, 질감 등에 예상치 않은 반응을 보이기도 함
반복적인 행동(상동 행동)과 한정된 관심사
- 스스로 특정 루틴을 고집하고, 그 루틴에 변화를 주는 것을 어려워함(예시 - 특정 음식은 절대 먹지 않겠다는 고집스러운 편식 등)
- 고무줄이나 스위치 같은 특정 물건에 대한 집착이 심해짐
- 스포츠 통계자료나 기차 시간표와 같이, 일반적이지 않은 한정된 내용에 강박적인 관심을 가짐
- 태그가 달린 옷을 입는 것을 거부하거나 작은 소음에도 민감해하는 등 감각적 문제를 겪음
- 움직이는 물체나 장난감의 특정 부분에 푹 빠져, 오랜 시간을 보냄
- 몸을 흔들거나 돌리는 등, 자기 자극적 행동을 추구함
- 장난감의 순서를 바꾸는 것과 같은 사소한 변화에 화를 냄
- 앉을 때 허리를 굽히거나 발끝으로만 걷는 등 독특한 버릇
성별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징후
경우에 따라 여아는 남아에 비해 징후가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징후는 일반적인 징후이긴 하지만 일부는 여아에게서는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자폐 스펙트럼 증상을 가진 여아들은 종종 '마스킹' 또는 '사회적 위장'으로 알려진, 징후나 증상을 매우 잘 숨기고 사회적 규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합니다. 연구에 따르면 여아들의 경우, 자폐 스펙트럼 증상이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데 더 수월한 편입니다. 또한 눈에 띄는 반복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남아 대비 훨씬 적습니다.
여아들의 징후
- 학교 등 또래 대비 눈에 띌 만큼 수동적으로 행동함
- 직접 소통하기 어려워하며, 친구에게 의지하여 말을 전달함
- 우울증, 불안 및 감정 변화와 같은 문제가 보임
- 사회적 의사소통 및 교류에 피로도를 크게 느끼는 것이 눈에 띄며, 회복을 위한 시간이 많이 필요해 보임
- 쉽게 좌절하며, 그 감정적 붕괴를 경험할 때 모든 걸 놓아버리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멍해짐
내성적이고 수줍어하는 모습을 ‘여성적’인 모습으로 단정 짓는 고정관념 즉, ‘여자아이들이 다 그런거지’ 라는 생각 때문에, 여아들의 자폐 스펙트럼 스크리닝이 늦어지기도 합니다.
* 트랜스젠더 또는 논 바이너리(Nonbinary)의 경우,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긴 하나, 2020년에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, 해당 경우 자폐 징후를 더 많이 보였으며, 진단받지 않은 상태의 자폐 스펙트럼 증상이 있다고 스스로 생각하는 경우가 5배 이상 많았습니다.
위에서 언급 드린 것처럼 자폐 스펙트럼의 증상은 아이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. 소개 드린 징후들이 있다고 해서 꼭 자폐 스펙트럼이 아닐 수도 있고, 불과 1~2가지 징후만 가지고 있음에도 자폐 스펙트럼일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전문가의 진단과 소견을 받는 것임을 알려드리고 싶어요. 조금이라도 일찍 발견해서 빠르게 치료를 받는 것이 아이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. 주변의 말에 휘둘리기보다는 전문가 즉,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진료를 빠르게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.
* 초록고래는 자체 블로그를 작성할 뿐만 아니라, 국내외 좋은 블로그와 논문, 기사 등을 번역 또는 가공하여 소개하고 있습니다. 원문이 있는 경우, 아래 원문 출처 등을 명확히 밝힐 것을 안내드립니다.
번역 원문 & 참조
- 원문 : https://beaminghealth.com/article/what-does-autism-in-children-look-like-a-parents-guide-to-autistic-signs-and-traits
- 참조 :
- Hyman, SL, et al. (2020). Identification, evaluation,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.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. doi: https://doi.org/10.1542/peds.2019-3447
- Devnani P, Hegde A. (2015). Autism and sleep disorders. Journal of Pediatric Neurosciences. doi:10.4103/1817-1745.174438
- Lee M, Krishnamurthy J, Susi A, et al. (2018). Associ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.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. doi:10.1007/s10803-017-3409-5
- de Giambattista, C, Ventura, P, Trerotoli, P, Margari, F. & Margari, L. (2021). Sex Differenc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: Focus on High Functioning Children and Adolescents. Frontiers in Psychiatry. doi:https://doi.org/10.3389/fpsyt.2021.539835
- Baron-Cohen, S, Lombardo MV, Auyeung, B, Ashwin, E, et al. (2011). Why are autism spectrum conditions more prevalent in males? PLOS Biology. doi: 10.1371/journal.pbio.1001081
- Warrier V, Greenberg DM, Weir E, et al. (2020). Elevated rates of autism, other neurodevelopmental and psychiatric diagnoses, and autistic traits in transgender and gender-diverse individuals. Nature Communications. doi:10.1038/s41467-020-17794-1
번역 및 발행 : 초록고래